1. 배열이란?
배열은 메모리의 연속 공간에 값이 채워져 있는 형태의 자료구조입니다.
배열의 특징
1. 인덱스를 사용하여 값에 바로 접근할 수 있다.
2. 새로운 값을 삽입하거나 특정 인덱스에 있는 값을 삭제하기 어렵다. 값을 삽입하거나 삭제하려면 해당 인덱스 주변에 있는 값을 이동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3. 배열의 크기는 선언할 대 지정할 수 있으며, 한 번 선언하면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없다.
4, 구조가 간단하므로 코딩 테스트에서 많이 사용한다.
2. 리스트란?
리스트는 값과 포인터를 묶은 노드라는 것을 포인터로 연결한 자료구조입니다.
리스트의 특징
1. 인덱스가 없으므로 값에 접근하려면 Head 포인터부터 순서대로 접근해야 한다.
(값에 접근하는 속도가 느리다.)
2. 포인터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삭제하는 연산 속도가 빠르다.
3. 선언할 때 크기를 별도로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
(리스트의 크기는 정해져 있지 않으며, 크기가 변하기 쉬운 데이터를 다룰 때 적당하다.)
4. 포인터를 저장할 공간이 필요하므로 배열보다 구조가 복잡하다.
※파이썬에서는 배열과 리스트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공학에서는 배열과 리스트가 명확하게 구분되는 자료구조이지만, 파이썬의 리스트는 리스트의 특징은 물론, 배열의 특징까지 모두 가지도록 구현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코딩 테스트에서 이러한 파이썬의 구현 특징을 잘 활용하면 다른 언어보다 조금 더 쉽게 정답 코드를 구현할 수있습니다.
'Coding_Test > Python Code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1253] '좋은 수' 구하기 (1) | 2023.10.26 |
---|---|
[핵심요약] 스택과 큐 핵심 이론 (0) | 2023.10.26 |
[백준-1940] 주몽의 명령 (0) | 2023.10.26 |
[백준-2018] 수들의 합5 (0) | 2023.10.26 |
[백준-10986] 나머지 합 구하기 (0) | 2023.10.24 |